웨슬리(제1권) - 전자책

존 웨슬리의 신학적 전기및 회심으로서의 내적 발전

John Wesley: a Theological Biography, Vol. 1, From 17th June 1703 until 24th May 1738

여기를 클릭! 미리보기 를 불 수 있습니다. 

여기를 클릭! 전자책 주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장: 과제(課題)
자전(自傳)과 전기(傳記)와의 관계―전기의 양식―영혼의 역사로서의 자전―사건과 평가의 일체성

제2장: 교회사 및 역사적 배경
영국 국교회의 설립―엘리자베스 여왕의 정책―퓨리타니즘의 시작―토마스 카트라이트―올리버 크롬웰과 퓨리탄의 신앙적 문학―영국 국교회와 퓨리탄―영국 교회사의 특징―신앙회와 그 영향

제3장: 선조와 양친의 가계(家系)
퓨리탄적 가계와 전통―조부 존 웨슬리―부친 사무엘 웨슬리―모친 수산나 웨슬리의 가계―부친 사무엘 웨슬리의 욥기 연구―스쿠폴리의 「영적 싸움」―헨리 스쿠걸의 「인간의 영혼 안에 있는 생명」―엡워스―수산나의 가정교육―엡워스의 목사관

제4장: 소년시대와 청년시대
목사관의 화재―차터하우스 학교―옥스퍼드대학 크라이스트 처치 칼리지―새러 커캄과의 교제―제레미 테일러의 사상―조직적인 생활 태도―토마스 아 켐피스의 『그리스도를 본받아』―테일러에 대한 비판―창조의 신앙, 성서주의―예정설, 원죄의 문제

제5장: 옥스퍼드의 학생집회
대학 특별 연구원으로 선발됨―존 그리피스와 매리 펜다브스―신성 클럽―메도디스트―윌리엄 모건의 죽음과 그의 부친 리처드 모건과의 서신교환―윌리엄 로우와 그의 사상―성화를 구하는 노력―목회에 관한 원칙―부친의 후계자 요청을 거부―성서의 권위

제6장: 조지아
식민지의 인도적 사회적 의의―조지아 식민지―이교도 선교와 원시 기독교의 이상―해외 선교에 대한 웨슬리의 생각―신세계를 향한 출발과 동행자―헤른후트 형제단과의 만남―프랑케의 『니코데모』―「그레고리 로페츠의 생애」―찬송 집회와 거친 풍랑―조지아 상륙, 스팡겐베르그와의 만남―스팡겐베르그와의 담화―추장 토모치치―사반나의 교회―헤른후트파와의 관계―진젠돌프 백작으로부터의 서신과 그의 신학―독일 경건주의 찬송가 번역―할레파 잘츠브르그 사람들―할레파와 헤른후트파의 대립―할레파의 목사 볼치우스와 그로나우―인디언 선교―흑인 선교, 유대인 선교―사반나와 프레데리카의 교회―호우킨스 부인―소피아 홉키와의 사건―웨슬리의 내적 투쟁―조지아를 떠남―소피아와의 경험은 무엇을 뜻하는가?―영적 시련으로서의 조지아의 경험

제7장: 회심
영국으로 돌아옴―장 밥티스트 드 렌티의 전기―죽음에 대한 공포―의인(義認)의 문제―영국에서의 설교―피터 뵐러와의 만남―피터 뵐러와 앵글리칸 주의―헤른후트파의 반 조직―자연 신학과 철학을 부정―의인 신앙의 강조―영국에서의 뵐러의 활동―윌리엄 로우와의 논쟁―신비주의에 대한 결별―설교와 기도의 생활―어느 친구에게 보낸 서신―회심과 루터의 로마서 서문―회심 후의 성과와 반대―모친 수산나를 방문, 회심 후의 설교―헤른후트 형제단 방문을 위해 출발―진젠돌프 백작과의 인터뷰―할레에서 프랑케를 만남―열 한 사람의 증언―크리스찬 데이빗의 증언―데이빗의 설교―헤른후트 형제단의 조직―헤른후트 형제단에 대한 인상―형제단에 대한 비판―헤른후트를 떠나다.―회심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웨슬리와 루터의 동일성과 상위점

참고문헌
번역을 마치고

주석


저자 소개

저자 마르틴 슈미트(Martin Schmidt) 교수는 저명한 역사신학 교수로서 하이델베르크 대학, 베를린 대학, 마인쯔 대학에서 역사신학 강의를 했다. 그는 일찍이 학생 시절부터 존 웨슬리 연구에 깊은 관심을 가졌고, 1934년에는 프랑크푸르트에 있는 메도디스트 신학교에서 웨슬리 연구에 몰두했다. 바로 그 때는 히틀러가 주도하는 나치주의자들이 ‘독일적 기독교 운동’을 야단스럽게 선전했던 시대였다. 이러한 와중에서 세계교회 일치 운동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는 존 웨슬리에 관한 연구에 몰두했던 슈미트 교수의 고귀한 뜻을 높이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그의 박사학위 논문도 존 웨슬리와 루터에 관한 것이었다.

저자는 제2차 세계대전 후인 1953년에서 1954년 사이에 메도디스트파에서 설립한 영국 리치먼드 대학교 객원교수로 있으면서 웨슬리 연구를 계속했다. 그리고 그는 독일 경건주의와 웨슬리에 관한 논문을 남기고 1958년 5월에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세상을 떠났다.


역자 서평

이 책은 마틴 슈미트의 저서 『John Wesley』(Gotthelf Verlag, 1953)을 번역한 것이다.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신학적 전기, 회심을 향한 내적 발전이라는 부제를 달았다.

저자는 저명한 역사신학 교수로서 하이델베르크 대학, 베를린 대학, 마인쯔 대학에서 역사신학 강의를 하였다. 일찍이 그는 학생시절부터 존 웨슬리에 대하여 깊은 관심을 가지고 1934년에는 프랑크푸르트에 있는 메도디스트 신학교에서 웨슬리 연구에 몰두하였다. 바로 그때는 히틀러가 주도하는 나치주의자들이 ‘독일적 기독교 운동’을 야단스럽게 선전하였던 시대였다. 이러한 소용돌이 속에서 세계교회 일치 운동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는 존 웨슬리에 관한 연구에 몰두하였던 슈미트 교수의 고귀한 뜻을 높이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그의 박사학위 논문도 존 웨슬리와 루터에 관한 것이었다.

저자는 세계 제2차 대전 후인 1953년에서 1954년 사이에 메도디스트파에서 설립한 영국 리치먼드 대학교 객원 교수로 있으면서 웨슬리 연구를 계속하였다. 그리고 그는 독일 경건주의와 웨슬리에 관한 많은 저서와 논문을 남기고 1958년 5월에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세상을 떠났다.

그는 그의 저서 『John Wesley』에서 웨슬리의 생애에 있었던 사건들을 신학적으로 해석하는 일에 주력하였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웨슬리의 생애와 그의 신학을 연구하려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소중한 책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저자는 존웨슬리는 감리교회의 창시자이며 교회사 및 기독교 사상사에 있어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 위대한 크리스천이라고 말하였고, 웨슬리의 메도디스트 운동은 기독교계의 혁신적인 사건이라고 보았다.
저자 슈미트 교수는 그의 저서에서 존 웨슬리의 신앙과 신학의 발전을 내적으로 추구하여 회심사건을 그 정상에 올려 놓았다. 더욱이 웨슬리의 내적 발전 과정에 있어서 그에게 영향을 끼친 영국 정신사에 관하여, 그리고 그에게 종교개혁의 신앙을 부여한 루터파 독일 경건주의에 관하여, 각각 그 자료에 입각하여 그 관계 상황을 자세히 논술한 일은 매우 특징적이다.
많은 전기 저술가들은 웨슬리의 조지아 선교는 실패하였다고 말한다. 그러나 슈미트 교수는 웨슬리의 조지아 경험은 그 후에 있었던 그의 힘이라는 일회적 사건의 준비가 되었다는 사실과 조지아에서 있었던 그의 고뇌와 환난 등은 마치 루터가 수도원에서 경험하였던 것처럼 하나님께서 웨슬리에게 부여한 영적 시련이었다는 사실을 웨슬리의 일기와 서신으로 뒷받침한 일은 획기적인 일이었다. 다시 말해서 웨슬리는 목사로서의 그의 임무의 실패와 인간으로서의 고뇌에서가 아니라 엄밀한 의미에서 말한다면 하나님과 구원이라는 문제로 부터 심각한 영적 시련을 받았던 것이며, 그것은 웨슬리에게 있어서 율법과 죄에 대한 끊임없는 싸움이었기 때문이라고 말하였다. 하나님은 때로는 웨슬리 앞에서 당신의 모습을 나타내 보이기도 하셨고 때로는 당신의 얼굴을 숨기셨던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렇게 하여 웨슬리는 회심이라는 높은 봉우리를 향해 한 걸음 한걸음 올라갔던 것이며 웨슬리는 피터 뵐러가 회심이 돌연적으로 시작된다고 말한 것에 동의할 수 없었으나 웨슬리의 회심은 루터의 로마서 서문의 낭독을 듣는 일에 의하여 돌연히 시작된 것이ㄹ았다. 그의 회심 사건은 고독한 만남으로 말미암아 일어났던 것이다. 그리고 저자는 자기 자신의 의와 신앙으로 말미암아 의, 율법과 은총 사이의 바울적 대립 아래 있었던 웨슬리가 회심으로 인하여 신앙의 확신을 얻었다는 일과 그 확신을 그에게 준 것은 웨슬리가 오랜 시간에 걸쳐 매일 매일 읽었던 신약성서라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슈미트 교수의 저서 『John Wesley』에서 저자는 웨슬리의 회심까지의 생애를 각각 그 단계에 있어서 그의 내적 발전을 더듬어 풍부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그 전체의 모습을 그렸다는 점도 특징적인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다른 웨슬리 전에서 볼 수 없었던 내용의 풍부함과 신학적 신앙적 전기라고 말할 수 있다.
슈미트 교수의 『John Wesley』는 제1권과 제2권으로 되어 있다. 제1권은 웨슬리의 회심까지의 내적 발전을 새로운 신학의 빛으로 조명하였고, 제2권은 헤른후트파와의 결렬과 영국 국교회 안에 있어서의 메도디스트 신앙회의 설립과 조직 규례, 설교와 신학이 그 내용으로 되어 있다.